
성·생식보건 포럼
- 성·생식보건(SRHR*)포럼
-
전문가 포럼을 통한
성·생식보건(SRHR)영역의 현안이슈 공론화, 정책제언*SRHR: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and Rights
-
‘삶의 질 향상’에 부합하는 성·생식보건 정책제언 및 전문가network 공조
성ㆍ생식보건 이슈 공론화 및 성·생식보건사업 실질화(정책·사업제안)에 기여 -
연 5회 포럼, 토론회 1회 실시
여성건강 및 정책분야 전문가, 산부인과의사 등 포럼운영위원 구성(10명)

성・생식보건(SRHR) 포럼
구분 | 일시/장소 | 주제 | 주요내용 및 발제자 |
---|---|---|---|
1차 |
5. 20(목) 3층 회의실 |
생애주기별 성・재생산건강 현안과 이슈 |
1. ‘20년 성・생식포럼운영 경과보고 및 ’21. 포럼운영 방향(안) 안내 |
2차 |
6. 25(목) 3층 회의실 |
월경관리와 완경 |
1. 생애주기에 따른 월경관리와 여성건강(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박은자 연구위원) 2. 완경 후 여성의 삶의 변화 (순천향대 이은실 교수) |
3차 |
9. 24(금) 3층 회의실 |
안전한 성과 피임 |
1. 안전한 성, 경계와 동의 (이명화 운영위원) 2. 최신 피임 트렌드와 정책방향 (순천향대 이임순 교수) |
4차 |
11. 9(화) 3층 회의실 |
난임의 실태와 정책방향 |
1. 여성건강 관점에서의 난임 정책 동향과 과제(황나미 교수) 2. 난임여성의 삶의 질(단국대 김미옥 교수) |
5차 토론회 |
12.17(금) 국회의원회관 제8간담 회의실 (유튜브 생중계) |
생애주기별 |
1. ‘성·재생산건강(권)보장을 위한 생애주기별 이슈‘발표 2. ‘성·재생산건강(권) 접근성 확대방안: 취약계층 중심으로 |
구분 | 일시/장소 | 주제 | 주요내용 및 발제자 |
---|---|---|---|
1차 |
5. 22(금) 4층 회의실 |
성・생식보건(SRHR) 이슈・공유 |
1. 성・생식포럼운영보고 (서정애 위원) 2.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: Concept, Scope and lssues 3. 저출산고령사회 정책과 성・재생산건강 이슈 공유(조경애 위원) |
2차 |
6. 19(금) 3층 회의실 |
해외사례 인공임신중절 |
1. 캐나다 사례 발표 (윤정원 위원) 2. 호주 및 국내 사례 발표 (김정혜 위원) 3. 영국(맨섬), 아일랜드 사례 발표 (외부전문가 박아름) |
3차 |
7. 23(목) 3층 회의실 |
피임 |
1. 현대적 피임 실태와 모니터링 이슈 (천희란 위원) 2. 현대적 피임법과 안전한 성관계를 위한 교육 (윤정원 위원) |
4차 |
9. 11(금) 3층 회의실 (ZOOM) |
COVID-19와SRHR |
1. 코로나19 판데믹과 성과 재생산 건강 (외부전문가 김새롬) 2. IPPF 아태지역 COVID-19 대응(윤영옥 인구협회 국제과장) |
5차 |
10. 30(금) 3층 회의실 |
포괄적 성교육과 청소년 성건강 |
1. 청소년 성건강과 포괄적 성교육 (외부전문가 이명화) 2. 청소년(중고생)의 섹슈얼리티와 학교 성교육 현황 3. 2020년 성・피임교육 사업안내(안소영 인구협회 출산지원과) |
토론회 |
12.17(목) 4층 회의실 (유튜브 생중계) |
초저출생시대 성・재생산 건강보장을 위한 정책 토론회 |
1. 성과 재생산 건강 및 권리에 관한 국제방향(정혜주 고려대학교 교수) 2. 성과 재생산 건강보장의 전망과 과제(김새롬 시민건강연구소 센터장) |